자동차세 줄이고 싶다면? 전기차·경차 세금 혜택 제대로 받는 법


친환경차나 경차, 자동차세도 정말 저렴할까요?

정답은 바로 ‘네!’입니다. 전기차, 경차, 하이브리드차는 일반 차량에 비해 세금이 훨씬 적게 나와요.

이 글에서는 차종별로 자동차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실제 납부 금액은 어느 정도인지그리고 세제 혜택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렸어요.



전기차 자동차세 : 고정 세액 + 간편 납부

일반 차량(휘발유, 디젤)은 배기량(cc)에 따라 자동차세가 달라지지만, 전기차는 엔진이 없어 배기량이 0이라 배기량 기준으로는 세금을 매길수 없고, 출력 기준으로 금액이 계산됩니다.


항목 내용
기준 세액 100,000원 (연간)
지방교육세 30,000원 (30%)
총 납부액 130,000원

  • 연식 감면 없음 (차령 할인 비적용)
  • 영업용 전기차는 연 26,000원 수준
  • 연납 신청 시 약 5% 할인 (예: 1월 연납 → 약 123,500원 납부)
서울시 기준, 일부 지자체는 추가 감면 없음.


🔸 예시: 테슬라 모델 Y 기준, 자동차세는 연 13만 원 수준.

🔸 장점 요약

  • 연간 고정 세액 → 세금 예측 가능
  • 충전비용 포함 유지비 절감
  • 공영주차장/고속도로 할인 혜택 추가

경차 자동차세 : 1,000cc 이하, 교육세 면제

경차(1,000cc 이하)는 배기량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되며, 교육세는 전액 면제됩니다.


항목 내용
배기량 기준 세액 80원/cc
교육세 면제
연간 납부액 약 80,000원 (예: 모닝 999cc 기준)
  • 세액이 10만 원 이하일 경우 6월 1회 부과
  • 연납 신청 시 5% 할인 → 약 76,000원 납부

🔸추가 혜택

  • 취득세 감면: 최대 40만 원 (1,000만 원 이하 경차 대상)
  • 통행료 50% 할인, 주차요금 감면, 요일제 면제

하이브리드차 : 일정 감면, 제한적 혜택

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동일하게 배기량 기준 세금이 적용되며, 추가 감면 혜택은 일정 기간 동안만 제공됩니다.


항목 내용
부과 기준 배기량(cc) 기준 (예: 1,600cc × 140원)
평균 세액 약 291,200원 (지방교육세 포함)
감면 혜택 개별소비세 70만 원, 취득세 40만 원 (2025년 말 종료 예정)


🔸 예시: 토요타 코롤라 하이브리드(1,800cc): 연 36만 원 납부. 연납 시 약 34만 원 수준

🔸 장점 요약

  • 충전 인프라 제약 없음
  • 연비 우수로 유지비 절감
  • 단, 자동차세 자체 혜택은 제한적

자동차세 비교 : 전기차 vs 경차 vs 하이브리드


차량 유형 자동차세 계산 방식 연간 세금 (평균) 특징
전기차 고정 100,000 + 교육세 30% 약 130,000원 예측 쉬움, 친환경 감면
경차 80원/cc + 교육세 면제 약 80,000원 저렴한 유지비, 면세 혜택
하이브리드 배기량 기준 + 한시적 감면 약 290,000원 실용적이나 세금은 일반 수준

전기차·경차 세제 혜택 & 신청 방법

🔋 전기차

  • 취득세 감면 : 최대 140만 원(서울 등 일부 지자체 100% 면제), 2027년 12월 31일까지.

    • 신청 : 차량 등록 시 시·군·구청에 감면 신청서 제출(자동차등록증 등 필요)

  • 통행료 할인 : 고속도로 50% 할인(2,000cc 미만)

    • 휘발유·경유 ℓ당 ~250원, LPG ℓ당 ~90원 환급, 연 최대 약 30만 원 

    • 주유 시 자동으로 할인 적용되며, 별도 절차 없이 청구금액에서 차감

  • 자동차세 : 연간 약 13만 원(비영업용), 장애인 등 면제 가능.

    • 신청 : 시·군·구청에 장애인등록증 등 제출.

  • 개별소비세 감면 : 최대 300만 원, 교육세 최대 90만 원, 2026년 12월 31일까지.

    • 신청 : 제조사/딜러가 자동 적용, 별도 신청 불필요.


🚘 경차 유류세 환급 혜택

  • 취득세 감면 : 1,000만 원 이하 차량, 자동 적용
  • 통행료 할인 : 하이패스 단말기에 차량 정보 등록 시 자동 적용
  • 자동차세 : 6월 1회 납부 또는 1월 연납 시 5% 할인

  • ‘경차사랑카드’ (신한·롯데·현대) 발급

    • 준비물: 차량등록증, 신분증(등본 포함할 수도 있음) 

    • 발급 방법: 카드사 홈페이지/앱, 전화, 지점 방문으로 신청 

  • 혜택 내용:

    • 휘발유·경유 ℓ당 ~250원, LPG ℓ당 ~90원 환급, 연 최대 약 30만 원 

    • 주유 시 자동으로 할인 적용되며, 별도 절차 없이 청구금액에서 차감


어떤 차량이 가장 유리할까?

  • 전기차: 세금, 연료비, 정비비 모두 낮아 장기 운용에 최적

  • 경차: 초기 비용과 유지비 모두 낮고, 세컨드카로 인기
  • 하이브리드: 충전 인프라 없이도 연비 효율 높아 실용적

근거리 위주 운행이라면 경차, 장거리 주행과 친환경성을 고려한다면 전기차, 충전 환경이 부족하다면 하이브리드가 추천됩니다.


차량 구매는 단순한 취향이 아닌, 유지비까지 고려한 ‘현명한 선택’입니다.

이 글을 통해 차종별 자동차세 구조와 혜택을 정확히 이해하셨다면, 앞으로 어떤 차를 선택해야 내 상황에 가장 유리할지 훨씬 명확해지실 거예요.

내게 맞는 실속 있는 차량 선택, 세금도 고려해서 현명하게 구매해보세요!






전기차 경차 세금혜택


다음 이전